공유기 원격데스크톱 접속
상황
보통 공유기를 쓰는 상황에서 내부망 IP(192.168.~) 형태의 IP를 부여받는데 이 IP는 해당 내부망 내부에서 서로 시스템간 통신할 때 사용하는 IP이고 외부에서 접속하는 IP는 따로 있다.
컴퓨터A ---> 공유기 ( 외부IP ) ㅜ----> 컴퓨터B (192.168.0.25) ㄴ----> 프린터B (192.168.0.26)
ipconfig /all #이후 ma
컴퓨터A에서 컴퓨터B까지 호출 혹은 프린터 B까지 연결해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사전작업이 필요하다.
- 공유기(외부IP), 컴퓨터B의 방화벽 규칙 설정
- 컴퓨터B, 프린터B의 고정 IP 사용
- 공유기에서 포트포워딩
확인순서
1. 공유기(외부IP), 컴퓨터B의 방화벽 규칙 설정
첫번째 방화벽 규칙을 위해서 확인해야할 사항은
2. 컴퓨터B, 프린터B의 고정 IP사용
내 CJ 공유기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고 접속 할 수 있다.
로컬 랜설정에서 고정 IP할당의 설정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특정 맥주소에 대해 고정 IP를 부여할 수 있다. 이렇게 하면 접속할 때마다 IP가 바뀌지 않는다.
3. 공유기 포트포워딩
아래의 내용을 보면 서비스 포트로 들어온 대역대를 내부 IP의 특정포트로 포트 포워딩 하는것이다.
즉, 외부IP:3389 => 내부IP:3389 로 포워딩된다.
내용
보통 docker 네트워크에서는 172.17~ 방식의 ip를 쓰는데 외부망과 내부망의 개념에서 사용하는 방식에서 같은 부분이 있다. 포트포워딩이나 고정ip를 이해하기에 좋다.